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

[기업 보고서] 제이오

 

Ⅰ. 회사 개요


  • 플랜트 엔지니어링 사업 : 이차전지, 전재자료, 항공우주 등에서 공장설계, 기본 및 상세설계, 사업관리 시운전 등 EPC 관련 서비스 제공
  • 탄소나노튜브(CNT) : 종류에는 MWCNT, TWCNT, SWCNT 등이 있음. 이차전지 배터리의 수명 및 효율을 증가시키는 물질
  • 세부 서비스는 DART(클릭) Ⅱ. 사업의 내용 →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참고

 

 

Ⅱ. 우리가 봐야 할 것은 CNT 도전재다.



  • CNT 도전재는 양극과 음극의 전도성(전기가 통하는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물질이다.
  • 현재는 전도성 개선 물질로 [카본블랙]의 비중이 높다.(약 80%) 하지만 이는 26년으로 갈수록 CNT 도전재의 비율이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 CNT는 탄소 원자로 된 튜브형 물질로, 원통형 관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나노미터 단위로 이루어진 신소재이다. 해당 물질은 전도성이 매우 높아 충전시간 단축 및 배터리 수명 연장에 효과가 있다. 또, 배터리 팽창을 방지해준다. (안정성)

-       CNT 종류별 구분

  • 1)  MWCNT : 벽의 수가 여러 겹이며, 평균 직경이 7nm이상 (40$/KG)
  • 2)  TWCNT : 벽의 수가 3~5 겹이며, 직경은 5~7nm사이 (100$/KG) 예상
  • 3)  SWCNT : 벽의 수가 한 겹이며, 평균 직경이 0.5~2.5nm (1,500~2,000$/KG)
  • 카본블랙(4~7$/KG)

[탄소나노튜브 세계시장 규모 추이와 예측]

 

 

 

Ⅲ. 실적 및 추이 전망

-      플랜트 부문 (단위 : 천원)

 

 

-      탄소나노튜브 부문 (단위 : 천원)

*10B : 제이오의 MWCNT (JENOTUBE) *6A : 제이오의 TWCNT (JENOTUBE)

  • 현재 플랜트 부문은 GS에코메탈 및 에코프로 향으로 주 매출처를 잡고 있음. 현재 수주 잔액은 589억 가량 잔존하는 것으로 확인됨.
  • 탄소나노튜브 부문도 해마다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특히 MWCNT 제품(10B)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단위 : KG)

  • 2022년까지 약 300톤이었던 CAPA를 23년 최대 1,000톤까지 증설.
  • 예정된 증설 수준은 24년 말 3,000톤, 25년 5,000톤까지 증설 계획에 있음.

 

Ⅳ. 예상 매출액 계산



  1. 2023년 3분기 CNT 추가 생산능력은 약 260.25톤, 추가 생산실적은 210.1톤으로 CAPA 증설 시, 즉시 가동률은 80%로 확인하였음.
  2. MWCNT, KG당 금액 : 84억(3분기 CNT 매출) / 425,600 KG = 19,868원/KG
  3. 남은 20% 가동률은 플랜트 추가 수주 가능성 분으로 반영하여 100%로 계산
  4. 23년 6월 공시에서 자기자본으로 24년 12월까지 2,000톤 CAPA 증설 확인. (추가 CB 리스크 제거) 24년 말, 총 CAPA는 2,300톤 예상
  5. 도전재 수요 증가 고려했을 때, 가동율은 55%로 설정
  6. 도전재 매출의 99%는 MWCNT이며 TWCNT 및 SWCNT의 부담스러운 가격으로 단기간 수요는 매우 적을 것으로 판단하여 매출액 산정은 MWCNT만 적용하였음.

 

[2024년 연말 기준, 생산능력(2,300), 판매가 19,868\/KG, 생산실적(0.55)]

[20241분기 : 생산능력(1,325) * 19,868\ * 0.55 = 144]

[20242분기 : 생산능력(1,650) * 19,868\ * 0.55 = 180]

[20243분기 : 생산능력(1,975) * 19,868\ * 0.55 = 216]

[20244분기 : 생산능력(2,300) * 19,868\ * 0.55 = 251]

총매출 : CNT(791) + 잔여 수주(640) + 추가 수주(70) = 1,501

 

[현재 매출액 및 시가총액 및 주가 : 1,145/ 8,412/ 26,750]

[예상 매출액 및 시가총액 및 주가 : 1,501/ 11,001/ 35,042]

*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     SK증권 실정 추이 및 전망

 

 

 

Ⅴ. 임원 및 주요주주들의 매수


  • 24년 2월 22일 기준 주요 인원들이 주식 보유 수량을 늘리는 모습을 보여줌.
  • 주가 상승 가능성을 둔 기업들은 보통 자사주 매입, 풋백옵션, 소각, 보호예수 기간 증가 등을 시도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