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이란?]
Urban Air Mobility(도심항공교통)
항공기 기체뿐만 아니라 항공관제, 이착륙 시설, 교통서비스 플랫폼 등이 모두 포함된다. 수직이착륙(VTOL,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이 가능한 개인 항공기(PAV, Personal Air Vehicle), 에어 택시, 또는 대중교통 서비스가 UAM이 될 수 있다.
[UAM 생태계]
위성통신 - 법률규제(감항승인, 미국에서는 127KG 아하일 경우 승인 필요 없음) - 사회적 수용성(신뢰도) - 인프라(버티포트, 충전소)
[현재 개발단계]
*선두 기업인 조비에서 프로토타입으로 1대 제작완료(과거 1대는 소멸), 이후 9대 제조하여 공군납품 예정 → FAA(미국 연방항공정)에 인증 작업을 하는 중, 서류 제출 완료 및 검토중 → 통과시 테스트 작업
*웬만한 상장사들은 프로토타입 1대 이상 및 시운영 중인 것으로 확인됨.
[관련 정책 이슈]
▶23.09.13 국토부, UAM 전용 '하늘 지도' 배포..."2단계 실증사업에 활용"
https://youtu.be/0c6UtDriTwM?si=w3Hh0MIwDPK32Pxj
▶ 2023.05.25UAM(도심항공교통)상용화 앞두고 ‘버티포트’ 개발 논의도 본격화
https://youtu.be/puodV8YNJgo?si=UKM8WlC9iuRd8Hgq
버티포트 : 수직비행+항만, uam 기체가 이착륙할 수 있는 정거장(터미널)
*건물 옥상 등 기존 건물 활용이 가능하여 사업 진입 장벽이 낮다.
*친환경 에너지(전기 연료)를 사용하므로 효율적 충전 시스템 강조, 수소 연료 팩 OR 리튬 이온 배터리 사용. [수소 충전 인프라 확대 가능성, 릴크즈 알앤디]
▶ '25년 상용화목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실증 착수|국토교통부
https://blog.naver.com/mltmkr/223189140536
[관련 기업(국내, 국외)]
(국내)
▶ SKT(017670)
*조비에 1억달러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며 한국 시장에서 조비 기체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4/0000084860
*국토부 K-UAM 드림팀, 기체운항 및 버티포트 사업 참여
▶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274090)
*켄코아에비에이션, 'UAM 토탈 솔루션 사업'에 5G특화망(셀로나) 쓴다.
http://www.paxetv.com/news/articleView.html?idxno=186112
*점차 늘어나는 MRO(정비, 수리, 분해조립=정비사업) 사업의 매출 비중, UAM 상용화가 가속될 수록 소모품 및 정비 수요가 늘어나 매출은 우상향 할 것으로 사료됨.
*2017년 당시, 미국 조지아주 및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우주항공 소재 공급업체 인수 및 지분 확보하여 블루 오리진, 스페이스X, 나사 등 원소재 공급
*국토부 R&D 단일 분야 기체운항 부분,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및 켄코아에비에이션 참여
*과기부, 지자체 등에 MMA, 항공산단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사업 등 활발하게 활동중.
“항공MRO 시장규모 160조...인천 제조업 전환 고용창출 기회”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238
▶ 한화시스템(272210)
*2019년부터 UAM 사업 참여 발표, 탄탄한 로드맵
https://www.hanwhasystems.com/kr/business/newbiz/uam.do
*미국 오버에어와 EVTOL 공동개발 중.
*아직까지 UAM 신사업에서 실질적인 수익을 발견할 순 없다. 다만, 다른 사업에서 끌어오는 매출 및 OP로 꾸준한 R&D 가능할 것으로 보임.
*국가정책 K-UAM 드림팀 버티포트 사업에 참여중.
(국외)
▶ 조비 에비에이션(JOBY)
*완전 전기 수직 이착륙(eVTOL) 항공기를 개발 중인 기업.
*UAM에서 가장 선두주자인 기업이며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진행중.
*대량 생산을 위한 토요타와 맞손
*수직 계열화 진행중.
▶ 릴리움(LILM)
*다른 항공기와의 차별점은 '덕트형' 항공기라는 점. (효율성 및 저소음 ↑)
https://moneyant.co.kr/entry/릴리움Lilium-LILM-주가-전망-및-기업분
*릴리움에 관한 모든 이슈(https://blog.naver.com/myungjip/223055830286)
▶ 이항(EH)
*중국 파일럿 리스 UAM 기업, 항공기가 드론 형식으로 되어있어 타 업체보다 속도나 이동 거리에 아쉬움이 있음.
*일본 AIRX에 50대 납품 MOU 체결.
*인도네시아 프리스티지 에비에이션이 이항과 100대 EH216 구매 합의
*2025년 오사카 엑스포에서 개시 예정이며, 2030년 상용화 계획에 있음.
▶ 볼로콥터 (비상장-시리즈 투자중)
*2022년 네옴시, 볼로콥터에 1억 7,500만달러 시리즈 투자 진행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7337
*2024년 중 에어택시 형식의 인증을 받아 상업 운영 계획에 있음.
*2021년 말, 카카오모빌리티와 업무협약
*2024년 프랑스 올림픽 때 시범 비행 확정 (기체명 : 볼로콥터 2X) 인증은 아직 받지 못함
[개인 코멘트]
공부하면서 최근 UAM 관련 정책이나 뉴스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SKT와 조비의 상용화 뉴스가 나오고 2024년 그리고 2025년까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미리 공부해보면 좋을 것 같아 가져왔습니다.
지금 당장은 가시적인 기체를 만드는 것이 포커싱 되어있지만, 기체 완성 이후부터는 버티포트와 통신 등 인프라 구축에 더 관심이 쏠릴 듯 합니다.
각 회사의 기체 및 탑승 인원, 비행 속도, 항속 거리를 비교한 블로그 글을 첨부 드리니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moneyant.co.kr/entry/릴리움Lilium-LILM-주가-전망-및-기업분)
국내 기업으로는 실질적으로 국가 사업 내에서 활동하는 기업으로 가져왔으며, 인터넷에 관련주 치면 나오는 애매한 기업들은 다 뺐습니다.
아무래도 2024년 말부터 상용화를 준비하기 때문에 23년 말부터 준비해서 24년 초~중반쯤 눈여겨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켄코아 같은 경우는 MRO 매출이 상승하는 것이 보이는 시기이므로 실적 트레킹을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UAM 산업을 앞으로도 세세하게 공부하여 정리한 내용을 공유드릴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공부가 끝나면 다음으로는 자율주행에 대해 공부해보고 싶네요 ㅎㅎ
'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분석] 반도체 (feat. 공정과정) (1) | 2023.07.29 |
---|